Etc./읽을 거리 reveur_ungkwon 2014. 3. 23. 23:02
한국 직업능력개발원의 Issue Brief 제 46호는 행복한 청년의 특징이라는 제목으로 발행되었다.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. 행복한 청년의 비율은 장래 희망 직업을 결정한 집단에서는 69.9%, 결정하지 못한 집단에서는 59.9%이며, 구체적인 진로계획을 실천하는 집단에서는 73.1%, 그렇지 않은 집단에서는 58.0%에 그침. - 성격별로는 외향적(71.6%)이고 정서적으로 안정(75.2%)되어 있으며, 친화적(72.7%)이고 성실(70.9%)하며 개방적(68.4%)인 성격을 가진 사람이 더 행복함.- 본인의 월평균 소득이 200만 원 미만일 때는 행복한 청년의 비율이 61.0%이나 200만 원~300만 원 구간에서는 70.2%로 증가함. 그러나 300만 원 이상(68.9%)이 되면 행복 수준이 소..
진로와 취업 reveur_ungkwon 2013. 4. 2. 15:34
우리나라의 미래를 예측할 때 일본의 예가 가장 유사한 측면이 있다.현재의 일본의 모습을 보면 우리나라의 10년 후의 모습일 경우가 많다. 이 기사가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. 우리에게는 준비할 시간이 있다. 이 시기를 놓치면 앞으로 더욱 힘들어질 것이다. http://media.daum.net/foreign/newsview?newsid=20130402145209715 (도쿄=연합뉴스) 김용수 특파원 = "27년 후인 2040년에는 65세 이상의 고령자 비율이 전체 인구의 36.1%, 5명중 1명이 75세 이상 노인일 것이다." 일본 국립 사회보장ㆍ인구문제 연구소가 2040년까지의 장래 일본 인구를 추계해 지난 27일 발표한 내용이다. `노인대국' 일본이 5년마다 발표되는 인구문제 연구소의 이번 인구 추계..